게시판(검색결과 4,654건)
-
군산시 시보(호외, 2017.10.27.) 2017-10-27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군산시보
-
208년 전통식품 체험시설 지원 사업대상자 공모 알림 2017-10-27
잊혀져 가는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 및 전통주 제조법을 재현하여 체험함으로써 우리 전통 식문화의 계승․발전과 전통식품 및 전통주의 소비저변 확대 도모하고자 2018년 도지특 신규사업으로 전통식품 체험시설 지원사업을 공모하오니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사업신청 바랍니다. 1. 신업기간 : 2017. 10. 27 ~ 11. 1 2. 사업대상 : 전통식품(전통주 포함) 등을 직접 제조·판매하는 업체(수산분야 제외) 3. 사 업 량 : 4개소(전라북도) 4. 사 업 비 : 1,000백만원(국비 500<도지특>, 시·군비 300, 자부담 200) - 개소당 사업비 : 250백만원(국비<도지특> 125, 시·군비 75, 자담 50) ※ 보조율 : 국비(도지특) 50%, 시·군비 30%, 자담 20% 5. 신청문의 : 농촌지원과 지도운영계 (454-5221) 붙 임 : 전통식품체험시설 지원사업 지침 1부.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시정소식
-
최호장군 추모제 2017-10-18
최호장군 추모제 안내최호장군에 대하여... 최호 장군은 1536년(중종 31년) 경주 최씨 최치원의 15대손 최한정의 사남 중 막내로 현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무인으로 1552년(명종 7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북방을 지키는 중요 요직을 두루 거친 유명한 노장군이었다. 유소년기는 엄하신 할아버지 슬하에서 학문과 무예를 닦았었다. 그 후의 10년 간은 아버지 밑에서 아버지를 도우면서 무장(武將)의 길을 닦았다.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8년 전 1574년(선조 7년) 39세에 무과병과에 급제(武科丙科 及第)하면서 중앙 무대로 진출하게 되었다. 2년 후 이순신 장군이 32세에 선조 9년(1576) 무과 급제할 때 현직 고급 무관을 승진시키기 위하여 10년마다 실시하는 무과중시(武科重試)에 최호 장군은 응시하여 『갑과 제일인급제(甲科 第一人及第)』하였다. 무인으로서 가장 명예로운 중시 갑과에 장원급제한 실력 있는 무장이었다. 최호
[문화관광] 군산 자랑 > 축제/행사 > 축제/행사 정보
-
군산시 시보(521호, 2017.10.16.) 2017-10-16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군산시보
-
2017년 하반기 군산시 도시재생선도지역 주민공모사업 신청 안내 2017-10-12
[군산시 대표] 군산소개 > 부서/업무 > 부서소식
-
군산시 도시계획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2017-10-10
「군산시 도시계획 조례」를 개정함에 있어 「군산시 자치법규안 입법예고에 관한 조례」 제4조제1항에 따라 그 입법취지와 주요내용을 시민에게 널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다음과 같이 입법예고 합니다. 붙임 : 입법예고문(군산시 도시계획조례)
[군산시 대표] 군산소개 > 법률정보 > 조례규칙 입법예고
-
군산시 시보(520호, 2017.10.10.) 2017-10-10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군산시보
-
군산시 시보(호외, 2017.9.27.) 2017-09-27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군산시보
-
2017년 추석 연휴 의료기관 및 약국 운영 현황 안내 2017-09-26
2017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운영하는 보건기관, 의료기관(병의원) 및 약국 현황을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의료기관 및 약국 이용하시는데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119구급상황관리센터 및 129보건복지부 콜센터, 군산시보건소(463-4000)에 문의하셔도 안내받으실 수 있으며, 인터넷(www.e-gen.or.kr) 및 스마트폰 앱(응급의료정보제공)에서도 안내하고 있습니다. * 해당 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유선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군산시 대표] 소통참여 > 시정알림 > 시정소식
-
청암산 2017-09-22
군산시 회현면, 옥산면 일원에 길게 드러누운 청암산은 오르막과 내리막이 적당하게 조화를 이뤄 등산과 산책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청암산은 조선시대 이전 푸른산이란 의미의 취암(翠岩)산으로 불리다 일제강점기 청암(靑岩)산으로 명칭이 바뀐 것으로 전해진다. 취암산을 빠르게 발음하다 샘산으로 들리면서샘산으로도 불린다.수원지 자리는 원래 논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논 가운데 큰길이 있었으며 이 길은 조선시대 만경강 포구였던 회현 월하산에서 금강을 연결하는 통로였다.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했던 청암산은 인근 금성산과 이어지며 현 회현초등학교 뒷부분까지 토성이 축조돼 만경강을 통해 침투하는 외부세력에 대비했다. 일대에는 장다리, 팔풍갱이, 세동, 요동, 고사동 등 5개 마을이 있었으며 장다리 마을은 조선시대 회미현 장재면에서 유래됐고, 팔풍갱이 마을에는 주막, 민박집 등이 있고 놀이꾼들이 거주했다고 전해지며 이름의 유래를 짐작케 한다. 세동
[문화관광] 군산 자랑 > 관광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