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후관리를 지원함으로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하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지원대상
- 산모 및 배우자등 해당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중중위소득 150%이하 출산가정(예외지원 140% → 160%이하)
- 기초생활보장해산급여·긴급복지해산비 수급자도 지원대상 포함(´20.7.1일 이후부터 시행) - ※ 예외지원대상자 희귀난치성질환 산모, 장애인산모 및 장애 신생아, 쌍생아 이상 출산가정,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새터민 산모, 결혼이민자 산모, 미혼모 산모
신청기한
- 출산예정일 40일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 ,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이내 신청(의서소견서, 확인서 첨부)
신청장소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제출서류
- 신분증(산모본인)
- 대리인 ①~③구비서류 또는 위임장, 신분증
- ① 주민등록등본 (부부의 주소가 다른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1부, 산모 등본 1부,조회불가능시 제출)
- ② 건강보험증 사본 또는 피부양자가 기재된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맞벌이 부부일 경우 각각,조회불가능시 제출)
- ③ 신청일 기준 최근월분(직전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맞벌이 부부일 경우 각각, 조회불가능시 제출)
- 제출서류(조회불가능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출생증명서(출생신고전 신청시), 휴직증명서, 수급자증명서 등
- 예외지원 대상 확인자료
서비스 기간
태아 유형 | 출산 순위 | 서비스기간 | ||
---|---|---|---|---|
단축형 | 표준형 | 연장형 | ||
단태아 | 첫째아 | 5일 | 10일 | 15일 |
둘째아 | 10일 | 15일 | 20일 | |
셋째아 이상 | 10일 | 15일 | 20일 | |
쌍태아 | 둘째아 | 10일 | 15일 | 20일 |
셋째아 이상 | 15일 | 20일 | 25일 | |
삼태아 이상, 중증장애 산모 |
구분 없음 | 15일 | 20일 | 25일 |
서비스 제공기관
기관명 | 주 소 | 전화번호 |
---|---|---|
에스엠 천사 | 군산시 조촌동 462 | 442-1254 |
해피케어 | 군산시 번영로 47 | 443-3579 |
산모피아 |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310 | 452-3575 |
미소피아 |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 3길 62 | 287-8277 |
인구보건복지협회 |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20 | 240-2318 |
ywca군산여성 인력개발센터 | 군산시 나운2동 백토로 대주빌딩 2층 | 445-0997 |
(유) 도우누리전주온케어 | 전주시 완산구 현무3길 종각빌딩 3층 | 287-9771 |
친정맘 | 군산시 조촌안2길 22-4, 2 (조촌동) | 451-8005 |
참사랑어머니회 전주지사 | 전주시 완산구 온고을로 119-1 113동4층1호 | 252-0824 |
닥터맘 전북지사 | 전주시 완산구 신봉3길26, 1층 | 221-1577 |
닥터맘 군산지사 | 군산시 나운로 43 현대2차아파트 상가 301호 | 466-3505 |
바우처베스트맘 | 전주시 완산구 소대배기로 18-21, 201호(평화동2가) | 229-9242 |
조은맘(군산지점) | 군산시 미원 2길 6-4 | 445-3554 |
조은맘 | 익산대로16길 39, 406호(창인동1가) | 853-3554 |
온유맘케어 | 군산시 대학로 342, 26빌딩 1605호 | 468-8030 |
행복맘 | 익산시 인북로 32길 55 | 454-8277 |
닥터맘 군산지사 | 군산시 나운로 43 현대2차아파트 상가 301호 | 466-3505 |
조은맘(군산지점) | 군산시 미원 2길 6-4 | 445-3554 |
2023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서비스가격 및 정부지원금
1일당 단가 (단위:원) |
단태아 | 쌍태아 (중증장애+단태아) |
삼태아 (중증장애+다태아) |
|
---|---|---|---|---|
인력 1명 | 인력 2명 | |||
165,600 | 232,400 | |||
132,800 | 265,600 |
서비스 제공기관서비스 기간별 금액(단위:원)
구분 | 서비스기간(일) | 단축 | 표준 | 연장 | ||||||||||
---|---|---|---|---|---|---|---|---|---|---|---|---|---|---|
태아 유형 |
출산 순위 | 소득유형 | 단축 | 표준 | 연장 | 본인 | 정부 | 계 | 본인 | 정부 | 계 | 본인 | 정부 | 계 |
단태아 | 첫째 아 |
A-가 -1형 |
5 | 10 | 15 | 66,000 | 598,000 | 664,000 | 266,000 | 1,062,000 | 1,328,000 | 598,000 | 1,394,000 | 1,992,000 |
A-통합 -1형 |
146,000 | 518,000 | 412,000 | 916,000 | 797,000 | 1,195,000 | ||||||||
A-라 -1형 |
246,000 | 418,000 | 624,000 | 704,000 | 1,036,000 | 956,000 | ||||||||
둘째 아 |
A-가-2형 | 10 | 15 | 20 | 106,000 | 1,222,000 | 1,328,000 | 359,000 | 1,633,000 | 1,992,000 | 744,000 | 1,912,000 | 2,656,000 | |
A-통합 -2형 |
266,000 | 1,062,000 | 598,000 | 1,394,000 | 1,036,000 | 1,620,000 | ||||||||
A-라 -2형 |
465,000 | 863,000 | 896,000 | 1,096,000 | 1,328,000 | 1,328,000 | ||||||||
셋째 아 이상 |
A-가 -3형 |
10 | 15 | 20 | 80,000 | 1,248,000 | 1,328,000 | 319,000 | 1,673,000 | 1,992,000 | 691,000 | 1,965,000 | 2,656,000 | |
A-통합 -3형 |
239,000 | 1,089,000 | 578,000 | 1,414,000 | 1,009,000 | 1,647,000 | ||||||||
A-라 -3형 |
438,000 | 890,000 | 857,000 | 1,135,000 | 1,275,000 | 1,381,000 | ||||||||
쌍태아 (중증+ 단태아) |
인력 1명 |
B-가 -1형 |
10 | 15 | 20 | 66,000 | 1,590,000 | 1,656,000 | 348,000 | 2,136,000 | 2,484,000 | 795,000 | 2,517,000 | 3,312,000 |
B-통합 -1형 |
232,000 | 1,424,000 | 621,000 | 1,863,000 | 1,093,000 | 2,219,111 | ||||||||
B-라 -1형 |
497,000 | 1,159,000 | 1,018,000 | 1,466,000 | 1,524,000 | 1,788,000 | ||||||||
인력 2명 |
B-가 -2형 |
10 | 15 | 20 | 188,000 | 2,136,000 | 2,324,000 | 639,000 | 2,847,000 | 3,486,000 | 1,131,000 | 3,517,000 | 4,648,000 | |
B-통합 -2형 |
385,000 | 1,939,000 | 890,000 | 2,596,000 | 1,432,000 | 3,216,000 | ||||||||
B-라-2형 | 679,000 | 1,645,000 | 1,266,000 | 2,220,000 | 1,884,000 | 2,764,000 | ||||||||
삼태아 이상 (중증+ 삼태아 이상) |
인력 2명 |
C-가형 | 15 | 20 | 25 | 80,000 | 3,904,000 | 3,984,000 | 531,000 | 4,781,000 | 5,312,000 | 1,195,000 | 5,445,000 | 6,640,000 |
C-통합형 | 398,000 | 3,586,000 | 1,062,000 | 4,250,000 | 1,660,000 | 4,980,000 | ||||||||
C-라형 | 916,000 | 3,068,000 | 1,647,000 | 3,665,000 | 2,324,000 | 4,316,000 | ||||||||
가형-자격확인(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통합형-중위소득 150% 이하, 라형-중위소득 150% 초과(예외지원) 단태아 [ 9시간 ], 쌍태아 [ 제공인력1명 : 8시간 / 2명 : 1인 7시간 ], 삼태아 이상 [제공인력 2명 : 1인 8시간 ] |